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taion Nursing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 Vol. 27, No. 1, pp.21-37
ISSN: 1229-294X (Print) 2288-30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4
Received 08 May 2024 Revised 19 Jun 2024 Accepted 20 Jun 2024
DOI: https://doi.org/10.7587/kjrehn.2024.21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운동기능 개선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의 효과: 주제범위 문헌고찰

이다운1 ; 송선희2 ; 이경은2 ; 송재민2
1서울아산병원 간호부 간호사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대학원생
2서울아산병원 간호부 간호사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otor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A Scoping Review
Lee, Daun1 ; Song, Sunhee2 ; Lee, Gyeongeun2 ; Song, Jaemin2
1Nurse, Department of Nursing, Asan Medical Center ‧ Graduate Student,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Nurse, Department of Nursing,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 Lee, Daun Department of Nursing,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5757, Fax: +82-2-2045-4074, E-mail: dani1422@amc.seoul.kr

ⓒ 2024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http://www.kasren.or.kr

Abstract

Purpose

This scoping review aims to provide established basic data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daily living ability and motor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cept and context were as of the following: ‘patients with hemiplegia’, ‘improvement of daily living abilities and motor functions’, and ‘published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s’. Databases including PubMed, Embase, CINAHL, Cochrane Library, and DBpia were searched.

Results

A total of 14 articles published within the past 5 years were identified. This review summarize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viewed literature (authors,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s),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fied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s (interventionist, intervention type, period, measurement tool), 3) the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s, and the academic and clinical implications.

Conclusion

This scoping review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s for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Keywords:

Stroke, Hemiplegia, Rehabilitation nursing

키워드:

뇌졸중, 편마비, 재활 간호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뇌졸중(stroke)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손상된 결과, 뇌로 이어지는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국소적 혹은 전반적인 뇌 조직 손상을 초래함으로써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만성 ‧ 중증 질환을 지칭한다(Wolfe, 2000). 세계 뇌졸중 기구(World Stroke Organization, WSO)의 2022년 통계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1,220만 명의 새로운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며 4명 중 1명은 살면서 뇌졸중을 경험한다(Feigin et al., 2022). 뇌졸중 발생률은 전 세계적으로 1990년 대비 2022년 70.0%, 유병률은 102.0% 증가하였으며,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보정생존연수(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건강 악화, 장애, 조기 사망 등으로 인한 수명 손실 연수를 나타내는 척도)도 143.0%나 증가하였다(Feigin et al., 2022).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3년 『생활 속 질병 ‧ 진료행위』의 통계 보고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의 뇌졸중 유병률 및 1인당 진료비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23). 따라서 뇌졸중의 사전 예방 및 사후 관리가 전 세계인들의 건강 증진과 수명 보존, 삶의 질 개선 등을 위해 대단히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다.

뇌졸중 발생 환자 중 66.0% 정도가 발생 즉시 사망하거나 심각한 사후 장애를 겪게 된다(Thrift et al., 2017). 사후 장애는 뇌 손상 부위와 범위에 따라 달라지며, 편마비와 같은 신체 기동성 장애는 물론, 언어, 감각, 지각, 인지 기능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신경학적 장애를 야기하며, 이에 따라 장기간의 치료 및 관리가 요구된다(Kim et al., 2020). 특히,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은 발병 이후 개인위생, 목욕하기, 옷 입기, 식사하기, 대소변 조절 및 처리, 보행과 이동 등 기본적인 생존과 일상생활 유지를 위한 필수 활동 및 운동기능을 수행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Thrift et al., 2017; Winstein et al., 2016).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장애는 인간으로서의 독립성을 훼손하고 타인의 돌봄과 간호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며, 환자의 정신적, 사회적 역할 상실 및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Sohn & Kim, 2024; Sunnerhagen, 2007). 따라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심신 회복과 치유를 위해서는 생존과 생명 ‧ 생활 유지의 기본 수단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을 개선 ‧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 간호중재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Kim, 2024).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개선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를 다룬 연구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간호중재의 특수 유형 중 하나인 재활 간호중재는 중증 장애 및 만성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생존 ‧ 생활의 필수 요소인 일상생활수행능력, 운동기능, 건강관리 능력 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간호와 재활 훈련, 교육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Kim & Lee, 2021).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회복에서도 재활 간호중재는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wang & Kim, 2022; Tanlaka et al., 2023; Zheng, Cai, Zhu, Yan, & Liu, 2021). 이러한 재활 간호중재의 의료적, 임상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뇌졸중으로 인해 발병된 편마비 환자의 생존과 생명 ‧ 생활 유지의 양대 필수 요소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개선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 및 효과 등을 본격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뇌졸중으로 초래된 다양하고도 심각한 후유증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만성 ‧ 중증 질환 중 하나인 편마비로 인하여, 환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이 저하되고 주 돌봄 제공자와 가족들의 재정적, 사회적 어려움이 가중된다(Ahn, You, & Kim, 2011). 이처럼 개인적, 공공적 건강 ‧ 보건과 삶의 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편마비 질환에 대한 일반적인 간호중재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소수 확인되지만(Kim & Kim, 2020; Kim & Lee, 1994), 편마비 환자들의 생존과 생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기능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개선을 목표로 한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우므로 향후 관련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개선을 목표로 한 재활 간호중재 연구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함으로써, 편마비 환자를 위한 재활 간호중재의 임상적, 이론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 토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난 5년간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가 발병한 환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향상을 위해 적용된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 및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편마비 환자 대상 재활 간호중재 프로그램 적용 및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이다.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향상을 위해 적용된 재활 간호중재 관련 고찰 대상 문헌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한다.
  • •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향상을 위해 적용된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과 효과, 연구결과 등을 확인한다.
  • • 주제범위 문헌고찰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고 논의함으로써,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재활 간호중재의 발전 방향성을 제언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특정 연구 분야나 전문 주제에 관련된 학술 자료들의 특성과 고찰 범위를 매핑(mapping)하여 분석의 세부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써(Seo & Kim, 2018), 아직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한 주제, 분야 등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출판된 문헌들의 특성, 범위, 한계 등을 확인하고 효율적, 합리적인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된다(Lee, 2022). 이에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 관련 연구의 특성과 범위, 제한점을 확인하고, 편마비 환자 대상 재활 간호중재의 미래 발전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Arksey와 O'Malley (2005)가 제안한 6단계 절차 중 마지막 6단계는 생략하고, 1~5단계인 연구 질문 개발 및 도출, 관련 연구 검색, 문헌 선정, 자료 기재, 결과 분석 ‧ 요약 ‧ 보고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단계인 전문가 자문은 연구자 또는 연구팀의 판단하에 생략할 수 있다(Arksey & O'Malley, 2005). 각 단계의 세부 절차와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 연구절차 및 방법

1) 1단계: 연구 질문 개발 및 도출

주제범위 문헌고찰 수행을 위한 연구 질문은 대상자(Population), 개념(Concept), 맥락(Context) 3요소를 균형적으로 고려하면서 설정되어야 한다(Peters et al., 2015).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마비 환자, 개념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향상, 맥락은 재활 간호중재 관련 문헌으로써,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질문은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 관련 문헌의 특성, 결과, 결론은 어떠한가?’이다. 위의 연구 질문에 따른 주요 검색어는 ‘hemiplegia’, ‘stroke’, ‘brain infarction’, ‘cerebral infar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covery of function’, ‘nursing’, ‘nurse’ 등이다.

2) 2단계: 관련 연구 검색

본 연구는 PubMed,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Cochrane Library, Excerpta Medica Database (EMBASE), DBpia 총 5개의 국내외 학술 사이트에서 문헌 검색을 수행하였다.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 연구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1월~2023년 12월까지 각 사이트에 발표 및 출판된 문헌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대상 언어는 한국어와 영어로 제한하였다. 검색식은 각 사이트의 시스템적 특성에 부합하게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CINAHL Headings, EMTREE, text word 등의 프로그래밍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불리언 연산자 and/or와 절단 검색 기능을 적용하여 검색의 민감도, 특이도 등을 높이고자 하였다.

3) 3단계: 문헌 선정

본 연구의 문헌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를 진단받은 환자 대상 연구, (2)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 연구, (3) 한국어 또는 영어로 작성된 연구, (4) 최근 5년간 공식 발표 및 게재된 연구 등이다. 문헌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질문에 부합하지 않는 연구, (2) 전문(Full texts)을 확인할 수 없는 연구, (3) 다른 연구와 내용이 중복되는 연구, (4) 분석 및 검증 결과가 온전히 제시되지 않은 양적연구 등이다.

국내외 학술 사이트의 검색 결과, PubMed 34편, CINAHL 20편, Embase 422편, Cochrane Library 52편, DBpia 5편 등 총 533편의 연구가 수집되었고, 이들 중에서 중복으로 검색된 50편을 제외한 483편의 연구가 1차로 선정되었다. 483편의 연구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연구 질문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연구를 제외한 결과, 78편의 연구가 2차로 선정되었고 이후 78편 전문을 상세히 검토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동시에 제외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14편의 연구를 최종 문헌고찰 대상으로 선정하였다(Figure 1). 1~3차 선정 과정에서 연구자 2명은 독립적으로 문헌을 검토한 후 상호 합의를 거쳐 최종 고찰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미합의 사항이 없었기 때문에 제 3자에게 자문할 필요성은 없었다(Seo & Kim, 2018).

Figure 1.

PRISMA flow-diagram.

4) 4단계: 자료 기재

본 연구는 문헌의 일반적 특성, 재활 간호중재의 유형과 특성, 측정도구, 중재 결과 등을 기준으로 고찰 문헌 자료들을 추출하였으며,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추출된 자료들을 기재 ‧ 정리하였다. 고찰 문헌의 특성과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핵심 정보들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출 ‧ 기재하기 위해 연구진 회의를 거쳐 자료 기재 양식과 규범을 사전에 정하였다(Peters et al., 2015). 자료 기재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공통 자료 기재 양식에 따라 2인의 연구자가 각자 선정한 문헌의 데이터를 기재한 후 일치 여부를 확인하였다.

5) 5단계: 결과 분석 ‧ 요약 ‧ 보고

최종 선정 ‧ 기재된 자료들을 토대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 연구 질문의 해답을 도출하기 위해 고찰 문헌의 일반적 특성,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과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 요약하여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는 크게 고찰 문헌에 대한 종합 분석(Table 1), 고찰 문헌의 일반적 특성(Table 2),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과 효과(Table 3)로 구성되며, 본 문헌고찰의 결과를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 학술적, 임상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Summary of Included Literature(N=14)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cluded Studies(N=14)

Intervention Characteristics(N=14)


연구결과

1. 문헌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최종 선정된 14편 문헌을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고찰 문헌에 대한 종합 분석 내용은 Table 1과 같으며, 고찰 문헌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1Table 2를 토대로 문헌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출판 연도는 2019년 1편(7.1%), 2020년 5편(35.8%), 2021년 2편(14.3%), 2022년 3편(21.4%), 2023년 3편(21.4%)이고, 연구 수행 국가는 한국 1편(7.1%), 중국 12편(85.7%), 일본 1편(7.1%)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설계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 설계 8편(57.2%), 비 동등성 대조군 실험 설계 4편(28.6%), 단일 집단 대상 전후 실험 설계 연구 1편(7.1%), 환자-대조군 실험 설계 1편(7.1%)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수는 51~100명 6편(42.9%), 1~50명 3편(21.4%), 101~150명 4편(28.6%), 151~200명 1편(7.1%)으로 분석되었다. 2020년 출판(35.8%), 중국에서 수행(85.7%), 무작위 대조군 실험 설계(57.2%), 연구대상자 51~100명(42.9%)이 가장 대표적인 문헌 특성 요인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편마비 환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구대상자의 연령, 성별, 편마비 유형, 뇌졸중 진단명과 같은 일반적 특성을 별도로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1.1~68.5세로 나타났으며, 1편의 문헌[A1]에서는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65.0세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4편의 문헌 중 13편에서 남성의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으며[A1-A13], 1편에서는 대상자의 성별이 보고되지 않았다[A14]. 대상자들의 편마비 유형을 분석한 결과, 왼쪽 편마비를 지닌 대상자의 비중이 높은 문헌[A1,A2,A6,A13]과 오른쪽 편마비를 지닌 대상자의 비중이 높은 문헌[A4,A5,A7,A9]이 4편으로 동일하였고, 6편은 편마비 유형이 보고되지 않았다. 뇌졸중 진단명이 확인된 4편의 문헌에서 뇌경색 환자가 뇌출혈 환자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A3-A6], 10편은 진단명이 보고되지 않았다.

3. 재활 간호중재 특성 및 측정도구

고찰 대상 문헌에 보고된 재활 간호중재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재활 간호중재 담당자를 보면, 간호사 단독 중재는 9편[A1-A4,A6,A7,A10,A11,A14], 다른 직군들과 연계한 팀 단위 중재는 5편[A5,A8,A9,A12,A13]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사 단독 중재를 다룬 9편의 문헌 중 1편[A6]에서는 재활 전문간호사가 재활 간호중재를 제공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팀 단위 중재를 다룬 5편의 문헌 중 2편[A9,A13]은 간호사, 의사, 재활 치료사로 구성되었고, 2편[A8,A12]은 간호사, 의사, 재활 치료사, 심리 상담사, 영양사로, 1편[A5]은 간호사, 의사, 재활 치료사, 심리 상담사, 돌봄 제공자로 구성되었다. 팀 단위 중재에서 재활 치료사는 환자들에게 적절한 신체 재활 계획 및 단기 ‧ 중장기 목표를 제시하고 맞춤형 재활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재활 간호중재 효과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A5,A8,A9,A12,A13]. 또한 영양사가 참여한 팀 단위 중재[A8,A12]에서는 대상자들의 영양 상태 평가 및 영양 관리 교육도 병행되었으며, 돌봄 제공자가 참여한 중재[A5]는 환자의 지역사회로의 복귀 및 일상 적응을 위한 각종 지원과 관련 교육을 돌봄 제공자에게 제공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음으로 재활 간호중재의 유형을 보면, 14편 모두 신체적 재활 훈련이 간호중재와 함께 제공된 것으로 보고되었고, 간호중재와 재활 훈련, 정서적 지지를 함께 제공한 문헌은 2편[A2,A8], 간호중재, 재활 훈련, 건강 관련 교육 등을 함께 제공한 문헌은 6편으로 확인되었다[A5,A7,A9,A10,A12,A13]. 중재 기간에 대해 명시한 문헌은 14편 중 7편으로써, 12일~1년으로 매우 다양하였다[A1,A3,A6,A8,A9,A13,A14]. 6편에서는 중재 횟수와 1회당 시간 등도 확인되었는데[A1,A3,A6,A8,A13,A14], 1일 당 1~2회, 1주 당 평균 5.3회, 1회 당 30분~3시간 정도의 재활 간호중재 또는 재활 훈련이 제공되었다(Table 3).

재활 간호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바델 지수(Barthel index, BI)만을 활용한 문헌은 6편[A2, A3,A4,A6-A8], 수정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만을 활용한 문헌은 2편[A1,A5],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척도와 바델 지수(BI)를 함께 활용한 문헌 1편[A8], ADL 척도만을 활용한 문헌 1편[A10],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를 활용하지 않은 문헌은 5편[A9,A11-A14]으로 나타났다. 바델 지수(BI)는 대상자의 1) 개인위생, 2) 목욕하기, 3) 식사하기, 4) 용변 처리, 5) 계단 오르기, 6) 옷 입기, 7) 대변 조절, 8) 소변 조절, 9) 보행 또는 의자 사용, 10) 의자/침대 이동 등 10개 항목으로 구성되고, 1개 항목 당 0~10점으로 평가되며, 총점 100점이다. 총점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수행의 독립성이 높다는 의미이며, 0~60점(극도의 의존성), 61~90점(중간 의존성), 91~99점(경미한 의존성), 100점(독립성)의 4단계로 구분하여 측정한다(Park, 2018). 바델 지수(BI)의 개정판인 수정 바델 지수(MBI)는 동일한 10개 항목을 0~24점(완전 의존성), 25~49점(최대 의존성), 50~74점(부분 의존성), 75~90점(약간의 의존성), 91~99점(최소 의존성), 100점(완전 독립성)의 5단계로 각 구간의 간격을 24점으로 동일하게 조정하였다(Park, 2018). 대상자의 운동기능을 측정하는 도구를 보면, 퓨글-마이어 도구(Fugl-Meyer Assessment, FMA)를 활용한 문헌은 11편[A3-A9,A11-A14], 3 m 앞 목표물 돌아오기(timed up and go test, TUG) 도구를 활용한 문헌은 3편[A1,A5,A14]으로 분석되었다. 퓨글-마이어 도구(FMA)는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도구로써, 운동기능, 감각 영역, 균형 감각, 관절 운동 범위, 관절 통증 등 5종 영역의 항목들을 측정한다(An & Park, 2018). 3m 앞 목표물 돌아오기(TUG)는 대상자가 의자에서 일어나 3m의 거리를 걷고 다시 의자로 돌아와 앉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구이다(Na & Shin, 2018).

4. 재활 간호중재 효과

재활 간호중재 효과에 대한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14편의 문헌에서 편마비 환자들에게 다양한 유형, 특성, 기간, 방식의 재활 간호중재를 제공한 결과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에서 대부분 유의한 개선 ‧ 향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먼저, 측정 변수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운동기능 변수는 14편의 문헌에서 모두 측정되었으며 1편[A1]의 문헌을 제외한 13편의 문헌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상생활수행능력 변수는 9편의 문헌에서 측정되었으며 해당 문헌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A1-A8,A10]. 이외에도 신경학적 장애 변수를 측정한 문헌은 6편[A2,A4,A8,A11,A12], 삶의 질 변수 6편[A2,A5,A7, A10-A12]으로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만족도에 대하여 측정한 문헌은 4편으로, [A10]은 측정도구를 제시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3편의 문헌 모두 자체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A4,A7,A8].

두 번째로, 결합 중재 유무에 따른 분류이다. 결합 중재를 제공한 문헌은 3편으로, [A5]는 원격 프로그램을 결합한 중재를 제공하였다. 실험군에는 인터넷 기반 화상 회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퇴원 후 원격 재활 프로그램을, 대조군에는 전화로 후속 조치만을 제공하였다. 이에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영역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 효과를 나타냈다. [A6]은 거울 신경 이론 기반 시각적 피드백 치료(Visual Feedback Therapy, VFT)를 결합하였다. 실험군에는 기본적인 재활 간호중재와 더불어 시각적 피드백 치료를 제공하였고, 대조군에는 기본적인 재활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이에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A9]는 보툴리눔 신경독소A 요법(Botulinum Neurotoxin A therapy, BoNT-A)을 병행한 재활 간호중재를 적용하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퓨글-마이어 도구-상지 영역(Fugl-Meyer Assessment Upper Extremity, FMA-UE)에서 19~31점을 받은 그룹 4와 26~47점을 받은 그룹 5의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마지막으로, 통계적 유의성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1편[A1]의 문헌을 제외한 13편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재활 간호중재와 일반 간호중재를 각각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실험군은 일상생활수행능력, 운동기능 영역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A1]은 단일 집단 대상 전후 실험 설계 연구로, 대상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은 일부 개선되었지만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저자들은 소규모 표본 연구의 한계로 해석하면서, 불충분한 결과를 보충하기 위해 대상자들에 대한 질적 면담을 추가하였다. 면담 결과, 대상자들은 주관적 신체 상태, 심리적 웰빙, 사회적 지원,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의 독립성, 자기효능감 등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논 의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개선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 관련 연구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함으로써, 편마비 환자 대상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고, 향후 재활 간호중재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의 국내외 학술 사이트에서 검색된 총 533편의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4편의 문헌을 최종 선정하여, 문헌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재활 간호중재 특성 및 측정도구, 재활 간호중재 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그 학술적, 임상적 의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14편 문헌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2020년 출판(35.8%), 중국 연구(85.7%), 무작위 대조군 실험 설계(57.2%), 연구대상자 수 51~100명(42.9%)이 가장 빈도가 높은 문헌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에 중국 성인 뇌졸중 환자의 유병률은 2.6%로 성인 중 1,780만 명이 뇌졸중을 진단받았고, 그중 340만 명은 생애 첫 뇌졸중 발병이었으며, 230만 명은 발병 즉시 사망하였고, 생존자 중 약 12.5%는 수정 랭킨 척도(Modified Rankin Scale) 1점 이상의 장애를 지니게 되었다고 보고되었다(Tu & Wang, 2023). 이러한 엄중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 내에서 뇌졸중 환자 대상 연구가 활성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2018년도 대한 뇌졸중학회의 역학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성인 뇌졸중 환자의 유병률은 1.7%로 성인 60명 중 1명이 뇌졸중 환자이며, 매년 10만 5천 명의 새로운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뇌졸중 환자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Korean Stroke Society, 2018). 또한 진단명이 확인된 4편의 문헌에서 뇌경색 환자가 뇌출혈 환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뇌졸중 진단 중 85% 정도가 뇌경색이고, 15%가 뇌출혈이라는 보고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Kim et al., 2020).

재활 간호중재의 세부 특성을 살펴보면, 14편 모두 일상생활수행 및 운동기능 개선을 위한 표준적 재활 훈련이 간호중재와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 확인되어‘재활 간호중재’라는 문헌 선정기준을 정확하게 충족함을 알 수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일상생활활동 및 운동기능 훈련 중심인 표준적 구성의 재활 중재는 6편이며, 정서적 지지, 영양 관리, 건강 관련 교육, 지역사회 복귀 교육 등이 가미된 포괄적 구성의 재활 중재는 8편(57.1%)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편마비 환자들이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신체적 영역은 물론, 사회적, 심리적 영역까지도 아우르는 포괄적 간호중재를 권장한 Choi와 Hong (2015)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아울러, 간호사, 의사, 재활 치료사, 심리 상담사, 영양사, 돌봄 제공자 등으로 구성된 팀 단위 중재는 5편으로, 이 중 3편의 문헌에서 다학제 재활 중재를 간호사가 주도하였음을 확인하였다(He et al., 2023; Lu, Fu, Shu, Yan, & Shen, 2023; Yang et al., 2021). 이는 재활간호사가 다학제 팀에서의 코디네이터로서 가족 지지의 책임과 환자교육, 재활치료 환경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해 오면서 재활 팀에서 가장 중추적인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는 Kim, Lee, Bang과 Lee (2016)의 연구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돌봄 제공자를 포함한 팀 단위 중재 문헌인 Wu, Xu, Yue, Li와 Liang (2020)에서는 재활 목표 및 계획 수립 시 돌봄 제공자와 함께 진행하였으며, 가정 내 원격 재활 훈련에도 돌봄 제공자가 참여하도록 하였다. 편마비 환자들은 긴급 ‧ 중점 치료 기간이 경과하면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여 가정 및 지역사회로 복귀하고 일상에 적응해야 하므로, 돌봄 제공자를 팀 단위 중재에 포함하는 것은 재활 간호중재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의료기관으로부터 가정 ‧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보장하는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측정도구와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문헌이 편마비 환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의 측정 및 효과 검증을 위해, 현재 국내외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바델 지수(BI), 수정 바델 지수(MBI), 퓨글-마이어 도구(FMA), 3 m 앞 목표물 돌아오기 도구(TUG) 등 가장 보편화 ‧ 공식화된 도구를 주로 사용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타 정신적, 심리적 측정도구, 삶의 질 측정도구들도 병행되고 있었다. 현재, 운동기능 영역을 동일하게 측정하더라도 연구자마다 다양한 측정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측정도구 간 종합적인 비교연구는 적은 편이다. 퓨글-마이어 도구(FMA)의 경우 측정 내용의 세밀함과 신뢰도 등이 장점으로 꼽히는 반면, 평가 시간이 20~30분 정도 소요되어 환자들의 근 긴장도 증가, 근 피로도 유발 등과 같은 신체적 부담을 초래하는 것이 단점으로 평가된다(Feigin et al., 2022). 3 m 앞 목표물 돌아오기 도구(TUG)의 경우 균형 유지 능력을 단시간에 평가할 수 있고, 낙상 위험의 예측 타당도도 높다고 평가되지만, 낙상 고위험자를 분별하는 기준값이 아직 도출되지 않았다는 한계점도 지적된다(Jung, Park, Kang, & An, 2017). 향후 측정도구에 대한 비교연구가 활발히 시행될 필요가 있으며,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신체적 ‧ 환경적 위험요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재활 간호중재 효과를 분석한 결과, 결합 중재를 제공한 Wu 등 (2020)의 문헌은 입원 기간 퇴원 후 원격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이는 뇌졸중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신경학적 장애는 장기간의 치료 및 관리가 요구된다고 말한 Kim 등(2020)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향후 의료기관과 지역사회 간 연계에 기반한 연속적인 재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편마비 환자에게 재활 간호의 연속성을 제공함으로써 편마비 환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운동기능 향상과 더불어 궁극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Hara 등(2022)의 문헌은 경직 완화를 위해 보툴리눔 신경독소A 요법(Botulinum Neurotoxin A therapy, BoNT-A)을 병행한 팀 단위 재활 간호중재를 적용하였다. 뇌졸중 대상자의 기능장애는 운동기능, 감각기능, 인지기능, 언어기능 및 정서장애 등 복합적인 장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치료과정에서 학제 간 협동을 바탕으로 팀 단위 중재를 권장한 Cho(2003)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1편을 제외한 모든 문헌에서 편마비 환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에 유의한 개선 ‧ 향상이 검증된 점에서, 다양한 유형과 방식을 막론하고 재활 간호중재의 통계적으로 높은 효과성을 확인하였다(Table 3). 다만, 14편의 문헌 모두 독립적인 연구인 관계로 본 문헌고찰에서 표준적 구성의 재활 중재와 포괄적 구성의 재활 중재 간의 효과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편마비 환자를 위한 포괄적 재활 중재 및 다학제적 팀 중심의 재활 간호중재 관련 연구가 향후 더욱 활성화된다면, 학술 연구의 질적 심화와 발전을 통해 임상 현장에서 편마비 환자들의 재활 성과를 제고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수행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결과는 학술 연구의 심화 발전과 임상적 효과의 강화 ‧ 확장 등에 모두 도움이 되는 유용한 기초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출판된 14편의 국내외 문헌을 대상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운동기능 개선을 위한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과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재활 간호중재의 발전 방향성을 제언하고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이다. 연구 수행 과정을 통해 연구목적으로 설정한 1) 고찰 문헌의 일반적 특성, 2) 재활 간호중재의 특성, 3) 재활 간호중재의 유의한 개선 효과 등을 모두 확인하였고, 그 학술적, 임상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 결론, 논의 등은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위한 재활 간호중재의 미래 발전에 이론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주어진 시간과 자원의 한계로 인해 시간적 분석 범위를 최근 5년으로 제한하였다. 향후 보다 넓은 기간에 걸쳐 풍부한 사례 추출 및 교차 검증의 보완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기간 중 팬데믹 기간이 포함되나 이로 야기된 사회적, 의료적 혼란이 관련 분야 학술 연구에 미친 영향을 추적하지 못하였다. 주제범위 문헌고찰에 있어서도 팬데믹과 같은 대사건이 학술 분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연구 방향의 변화와 추이를 탐색하는 것은 의미 있는 시도일 것이다. 그러나 자료 및 방법론의 한계로 인해, 팬데믹으로 인한 재활 중재 프로그램의 중재 방식 변화 등 관련 내용을 연구설계에 포함하여 검토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거시적 관점의 보완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의 고찰 대상 문헌에서 활용된 재활 간호중재 프로그램들을 임상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신뢰도, 타당도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메타 분석 연구 혹은 추가 실험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편마비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지속적으로 영위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재활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의료기관과 지역사회 간 연계에 기반한 연속적인 재활 중재를 제도화 ‧ 시스템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 재활 간호중재 연구를 향후 활성화할 것을 제언한다.

References

  • Ahn, J. Y., You, S. J., &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3(1), 53-58.
  • An, S. H., & Park, C. S. (2018).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hort form of the fugl-meyer assessment scale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4(1), 303-322. [https://doi.org/10.15870/jsers.2015.03.54.1.159]
  • Arksey, H., & O'Malley, L. (2005). Scoping studies: Towards a methodological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8(1), 19-32. [https://doi.org/10.1080/1364557032000119616]
  • Cho, B. H. (2003). The effec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o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6(2), 137-151.
  • Choi, Y. H., & Hong, S. Y. (2015). Developing a community capacity builded exercise maintenance program for frail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8(2), 153-164. [https://doi.org/10.7587/kjrehn.2015.153]
  • Feigin, V. L., Brainin, M., Norrving, B., Martins, S., Sacco, R. L., Hacke, W., et al. (2022). World Stroke Organization (WSO): Global stroke fact sheet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17(1), 18-29. [https://doi.org/10.1177/17474930211065917]
  •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23, December 20). 2023 Daily life diseases and medical treatment statistics. Retrieved April 18, 2024, from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10000&brdScnBltNo=4&brdBltNo=2399&pageIndex=1&pageIndex2=1
  • Hwang, H. J., & Kim, K. M. (2022). A comparison of fatigue, depression, and psychosocial well-being according care dependency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5(2), 70-80. [https://doi.org/10.7587/kjrehn.2022.70]
  • Jung, S. H., Park, D. S., Kang, T. K., & An, S. H. (2017). The discriminant analysis and predictive validity for predictor of falls using STS, TUG, FRT, MSL, BB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6(1), 327-345. [https://doi.org/10.23944/isers.2017.03.56.1.14]
  • Kim, B. E., & Lee, H. Y. (1994). A follow-up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hemiplegia - After one year at the completion of the health contrac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6(1), 101-111.
  • Kim, J. H., & Lee, J. Y. (2021). Impact of perceived importance to rehabilitation nursing, role conflict, and working environment on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of nurse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4(1), 86-95. [https://doi.org/10.7587/kjrehn.2021.86]
  • Kim, J. S., Thayabaranathan, T., Geoffrey, A., Howard, G., Howard, V. J., Rothwell, P. M., et al. (2020). Global stroke statistics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15(8), 819-838. [https://doi.org/10.1177/1747493020909545]
  • Kim, K. J., Lee, E. J., Bang, G. W., & Lee, Y. J. (2016).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patients' and nurses' perspectives on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9(1), 43-54. [https://doi.org/10.7587/kjrehn.2016.43]
  • Kim, K. M., & Kim, A. L. (2020). Influence of sleep quality, social support and fall efficacy on depression in hemipleg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5), 2095-2108. [https://doi.org/10.37727/jkdas.2020.22.5.2095]
  • Kim, S. H. (2024). Effects of cognitive-motor dual-task train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8(1), 213-227. [https://doi.org/10.21184/jkeia.2024.1.18.1.213]
  • Korean Stroke Society. (2018, December 20). Stroke fact sheet in Korea 2018. Retrieved April 20, 2024, from https://www.stroke.or.kr/bbs/?number=2676&mode=view&code=epidemic1&keyfield=&keyword=&category=&gubun=&orderfield=&page=1
  • Lee, J. (2022). Design thinking applying nursing educations in Korea: A scoping review.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23), 159-169.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3.159]
  • Na, S. S., & Shin, S. H.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fitness according to the segmentation time of the timed up and go test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6(2), 197-202. [https://doi.org/10.34284/KJGD.2018.05.26.2.197]
  • Park, C. S. (2018). The validity and smallest real difference of short-form barthel index as physical dependence for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7(3), 367-378. [https://doi.org/10.23944/Jsers.2018.09.57.3.17]
  • Peters, M. D., Godfrey, C. M., Khalil, H., McInerney, P., Parker, D., & Soares, C. B. (2015). Guidance for conducting systematic scoping reviews. JBI Evidence Implementation, 13(3), 141-146
  • Seo, H. J., & Kim, S. Y. (2018). What is scoping review?. Journal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6(1), 16-21. [https://doi.org/10.34161/johta.2018.6.1.003]
  • Sohn, S., & Kim, D. J. (2024). The effect of disease related knowledge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8(1), 183-193. [https://doi.org/10.21184/jkeia.2024.1.18.1.183]
  • Sunnerhagen, K. S. (2007). Circuit training in community-living "younger" men after strok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16(3), 122-129. [https://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06.12.003]
  • Tanlaka, E. F., McIntyre, A., Connelly, D., Guitar, N., Nguyen, A., & Snobelen, N. (2023). The role and contributions of nurses in stroke rehabilitation units: An integrative review.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45(8), 764-776. [https://doi.org/10.1177/01939459231178495]
  • Thrift, A. G., Thayabaranathan, T., Howard, G., Howard, V. J., Rothwell, P. M., Feigin, V. L., et al. (2017). Global stroke stat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12(1), 13-32. [https://doi.org/10.1177/1747493016676285]
  • Tu, W. J., & Wang, L. D. (2023). China stroke surveillance report 2021. Military Medical Research, 10(1), 33. [https://doi.org/10.1186/s40779-023-00463-x]
  • Winstein, C. J., Stein, J., Arena, R., Bates, B., Cherney, L. R., Cramer, S. C., et al. (2016). Guidelines for adult stroke rehabilitation and recovery: 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47(6), e98-e169. [https://doi.org/10.1161/STR.0000000000000098]
  • Wolfe, C. D. (2000). The impact of stroke. British Medical Bulletin, 56(2), 275-286. [https://doi.org/10.1258/0007142001903120]
  • Zheng, G., Cai, X., Zhu, R., Yang, L., & Liu, T. (2021). Effect of holistic rehabilitation nursing on postoperative neurological function recovery and limb function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 American Journal of Translational Research, 13(6), 7256-7262.

Appendix 1. List of Studies Included in a Scoping Review

  • Hwang, I., Song, R., Ahn, S., Lee, M. A., Wayne, P. M., & Sohn, M. K. (2019). Exploring the adaptability of tai chi to stroke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Nurs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Rehabilitation Nurses, 44(4), 221-229. [https://doi.org/10.1097/rnj.0000000000000110]
  • Cheng, Y., Han, B., You, H., & Li, H. (2020).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improves myodynamia, ability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Medicine, 13(11), 8381-8390.
  • Fu, J., Song, L., Wang, R., Ping, F., & Dong, S. (2020). Effect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 on hemiplegia patients in sequela stage of stroke. The Journal of the Pakistan Medical Association, 70(9), 38-44. [https://doi.org/10.1016/j.jmpt.2018.03.004]
  • Meng, L. P., Chen, C. Y., & Lu, Z. Q. (2020). Effect of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on motor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ncidence of shoulder-hand syndrome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Acta Medica Mediterranea, 36, 3053-3058. [https://doi.org/10.19193/0393-6384_2020_5_470]
  • Wu, Z., Xu, J., Yue, C., Li, Y., & Liang, Y. (2020). Collaborative care model based telerehabilitation exercise training program for acute stroke patients in Chin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he Official Journal of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9(12), 105328. [https://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20.105328]
  • Zhu, M. H., Zeng, M., Shi, M. F., Gu, X. D., Shen, F., Zheng, Y. P., et al. (2020). Visual feedback therapy for restoration of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ciences, 7(2), 170-178. [https://doi.org/10.1016/j.ijnss.2020.04.004]
  • Hu, L., & Liu, G. (2021). Effects of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on neurological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hemiplegia. American Journal of Translational Research, 13(4), 3811-3818.
  • Yang, C., Zhao, J., Xie, H., Wang, H., Liu, X., Liu, H., et al. (2021). Effects of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 on nerve function and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hemiplegia. American Journal of Translational Research, 13(10), 11842-11850.
  • Hara, T., Niimi, M., Yamada, N., Shimamoto, Y., Masuda, G., Hara, H., et al. (2022). Prognosis prediction of the effect of botulinum toxin therapy and intensive rehabilitation on the upper arm function in post-stroke patients us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44(22), 6815-6823. [https://doi.org/10.1080/09638288.2021.1977394]
  • Shen, Y. L., Zhang, Z. Q., Zhu, L. J., & Liu, J. H. (2022). Timing theory continuous nursing, resistance training: Rehabilitation and mental health of caregivers and stroke patients with traumatic fractures. World Journal of Clinical Cases, 10(5), 1508-1516. [https://doi.org/10.12998/wjcc.v10.i5.1508]
  • Yang, F., Tan, Y., & Xiao, M. (2022). Effect of exercise on early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Revista Brasileira de Medicina do Esporte, 28, 56-58. [https://doi.org/10.1590/1517-8692202228012021_0452]
  • He, J., Chen, L., Tang, F., Huang, R., Liao, J., & Tian, H. (2023). Multi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impact on NGF, BDNF, serum IGF-1, and life qualit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after stroke.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Noisy-le-Grand, France), 69(12), 57-64. [https://doi.org/10.14715/cmb/2023.69.12.10]
  • Lu, Y. H., Fu, Y., Shu, J., Yan, L. Y., & Shen, H. J. (2023). Application of cross-migration theory in limb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World Journal of Clinical Cases, 11(19), 4531-4543. [https://doi.org/10.12998/wjcc.v11.i19.4531]
  • Zhai, Y., Song, L., Tong, P., & Peng, K. (2023). Nursing influences on motor function recovery in patients on post stroke hemiplegia. Revista Brasileira de Medicina do Esporte, 29, e2023_0025.

Appendix

Appendix 2. Search Term Strategy

PubMed Search strategy

CINAHL Search strategy

Cochrane Search strategy

EMBASE Search strategy

Figure 1.

Figure 1.
PRISMA flow-diagram.

Table 1.

Summary of Included Literature(N=14)

No First author (Year), Country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Type of intervention Measurement tools
Motor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thers Variables
FMA TUG Other MBI BI ADL
Scale
Neurologic
impairment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BBS=berg balance scale; BI=barthel index; BoNT-A=botulinum neurotoxin A; C=control group; ESS=European stroke scale; FAC=functional ambulation categories; FMA=fugl-meyer assessment; GQOLI-74=generic quality of life inventory-74; HHS=Harris hip function score; I=intervention group; IMEG=integrated electromyography; LE=lower extremities; MMT=manual muscle testing; MBI=modified barthel index; NDS=neurologic disability scores; NIHSS=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RCT=n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 RRS=ruminative responses scale; SAR=sit-and-reach test; SEP=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S-QOL=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TUG=time up and go; UE=upper extremities; WHOQOL-BREF=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ief version; 6MWT=6-minute walking test.
A1 Hwang, I. (2019), Korea One-group pretest-posttest study 14 Hemiplegic stroke supervisors
n=14
Tai Chi program O Digital hand dynamometer, SAR, BBS O
A2 Cheng, Y. (2020), China Case-control study 103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ith hemiplegia;
I: n=52, C: n=51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O Myodynamia O ND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A3 Fu, J. (2020), China RCT 50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 n=25, C: n=25
ADL training,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raining O modified Ashworth scale, MMT, Goniometer & dosimeter O
(LE)
A4 Meng, L. (2020), China RCT 90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 n=45, C: n=45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O O NIHSS Self-made Questionnaire
A5 Wu, Z. (2020), China RCT 61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 n=30, C: n=31
Internet-based remote rehabilitation project O O BBS, 6MWT O SS-QOL
A6 Zhu, M. H. (2020), China RCT 31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limb hemiplegia
I: n=16, C: n=15
Visual feedback therapy O SEP O
A7 Hu, L. (2021), China n-RCT 123 Ischemic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 n=53, C: n=70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O O ESS WHOQOL-BREF Self-made Questionnaire
A8 Yang, C. (2021), China RCT 80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 n=40, C: n=40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O O O NIHSS, RRS Self-made Questionnaire
A9 Hara, T. (2022), Japan n-RCT 139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1: n=19, I2: n=54, I3: n=19, I4: n=15, I5: n=24, I6: n=8, C: n=38
BoNT-A, Rehabilitation O
(UE)
A10 Shen, Y. (2022), China n-RCT 100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combined with trauma fracture
I: n=50, C: n=50
Timing theory continuous care combined with resistance training HHS O GQOLI-74 Not reported
A11 Yang, F. (2022), China n-RCT 96 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ith hemiplegia
I: n=48, C: n=48
Early rehabilitation exercise training O NIHSS GQOLI-74
A12 He, J. (2023), China RCT 199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 n=99, C: n=100
multidisciplinary team cooperation O NIHSS SS-QOL
A13 Lu, Y. H. (2023), China RCT 120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 n=60, C: n=60
Application of cross-migration theory in ankle dorsiflexion resistance training on the healthy side O IEMG
A14 Zhai, Y. (2023), China RCT 28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I: n=14, C: n=14
Exercise rehabilitation training O
(LE)
O FAC, Maximum weight bearing percentage, the Fastest 5m return speed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cluded Studies(N=14)

Variables Categories n (%)
Region of origin China 12 (85.8)
Korea 1 (7.1)
Japan 1 (7.1)
Publication year 2019 1 (7.1)
2020 5 (35.8)
2021 2 (14.3)
2022 3 (21.4)
2023 3 (21.4)
Study design N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4 (28.6)
Randomized controlled trial 8 (57.2)
Single-arm study 1 (7.1)
Case-control study 1 (7.1)
Sample size 1~50 3 (21.4)
51~100 6 (42.9)
101~150 4 (28.6)
151~200 1 (7.1)

Table 3.

Intervention Characteristics(N=14)

No Intervention
providers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Main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intervention)
Nurse Team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BBS=berg balance scale; BI=Barthel index; BoNT-A=botulinum neurotoxin A; FMA=Fugl-Meyer assessment; HHS=harris hip function score; LE=lower extremities; MMT=manual muscle testing; MBI=modified barthel index; N9=negative 9; N20=negative 20; SAR=sit-and-reach test; SEP=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TUG=time up and go; UE=upper extremities; 6MWT=6-minute walking test; †A SEP waveform reports as N followed by a number; N corresponds to "negative" (the wave polarity) and the number represents the expected latency of the wave in milliseconds, determined from a healthy population. In Median nerve SEP, N9 uses a surface electrode at Erbs point to record the peripheral nerve as it traverses the brachial plexus. N20 uses a surface electrode at scalp/parietal and frontal cortices (Cervical 3 and Cervical 4 points) to record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A1 Duration: 12 months
Nurse's role: Tai Chi for health program (walking steps, qigong breathing, formal tai chi movements, cool-down exercise)
TUG (p=.209), Digital hand dynamometer (p=.300), SAR (p=.020), BBS (p=.007)
A2 Nurse's role: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psychological nursing, sitting · standing · walking training, bed training, ADL training) FMA (p<.05), Myodynamia (p<.05), BI (p<.001)
A3 Duration: 4 weeks, 50 minutes per day, 6 days per week
Nurse's role: ADL training,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raining (limb flexion · extension · resistance training, low-frequency electrotherapy, standing training)
FMA (p<.05), modified Ashworth scale (p<.01), MMT (p<.05), Goniometer & dosimeter (p<.05), BI-LE (p<.05)
A4 Nurse's role: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individualized care, limb placement, motor function training, massage therapy) FMA (p<.05), BI (p<.05)
A5 Contents: Internet-based remote rehabilitation project after discharge
Nurse's role: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health education, discharge guidance during hospitalization, personalized internet-based remote rehabilitation project after discharge
FMA (p<.001), BBS (p<.001), TUG (p<.001), 6MWT (p<.001), MBI (p<.001)
A6 Duration: 8 weeks, 3~4 hours per day, 6 days per week
Nurse's role: Demonstrating 40 actions for ADLs in visual feedback therapy, assessing · analyzing results, routine rehabilitation nursing
FMA (p<.05), N9/N20
latencies and amplitudes of SEP (p<.05), BI (p<.05)
A7 Nurse's role: Early rehabilitation nursing (psychological guidance and nursing, health education, limb function training, diet guidance) FMA (p<.05), BI (p<.05)
A8 Duration: 12 days, 45 minutes per day, twice a day
Contents: Psychological nursing,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raining
Nurse's role: Leading and coordinating the multidisciplinary team, assessing · planning · recording · evaluating patients, psychological nursing,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limb function training
FMA (p<.05), ADL scale (p<.05), BI (p<.05)
A9 Duration: 12 days, 2 hours per session, twice a day
Contents: Twice occupational therapy each day and BoNT-A injection every afternoon Nurse's role: Supporting patient, creating rehabilitation plans, adl training, limb placement, self-rehabilitation program
FMA-UE (p<.05)
A10 Nurse's role: Resistance training, active ankle flexion training, health education with manual and lectures, following up after discharge, construction of public platform, sharing patient's information, hand-in-hand demonstrations HHS (p<.05), ADL (p<.05)
A11 Nurse's role: Early rehabilitation exercise (body placement and turn over training, muscle strength training, sitting · standing · walking training) FMA (p<.05)
A12 Contents: Limb function training, health education
Nurse's role: Health education (disease-related knowledge, precautions, complications), self-care education video
FMA (p<.05)
A13 Duration: 6 weeks, 30 minutes per day, 5 days per week
Contents: Resistance movement of the healthy side limb using sandbags, health education
Nurse's role: Healthy limb resistance exercise, monitoring discomfort and vital sign during training, health education, following up after discharge
FMA (p<.05), IEMG (p<.05)
A14 Duration: 8 weeks, 3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day, 5 days per week
Nurse's role: Simple balance exercise, sitting control exercise, ambulation training, joint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 step training
FMA-LE, FAC, TUG, Maximum weight percentage, the Fastest 5 m return speed

PubMed Search strategy

CINAHL Search strategy

Cochrane Search strategy

EMBASE Search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