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taion Nursing

Current Issu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 Vol. 26 , No. 2

[ Article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 Vol. 23, No. 2, pp. 105-111
Abbreviation: Korean J Rehabil Nurs
ISSN: 1229-294X (Print) 2288-300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18 May 2020 Revised 18 Sep 2020 Accepted 18 Sep 2020
DOI: https://doi.org/10.7587/kjrehn.2020.105

학술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재활간호의 이해
배정호1 ; 범은애2
1백석문화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2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Understanding of Rehabilitation Nursing based on Academic Big Data Analysis
Bae, Jung-Ho1 ; Burm, Eun-Ae2
1Professor, College of Childhood Education, Baekseok Culture University, Cheonan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Baekseok Culture University, Cheonan, Korea
Correspondence to : Burm, Eun-Ae College of Nursing, Baekseok Culture University, 1-3 Baekseokdaehak-ro, Dongnam-gu, Cheonan 31065, Korea. Tel: +82-41-550-2977, Fax: +82-41-550-0569, E-mail: burm99@hanmail.net


ⓒ 2020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http://www.kasren.or.kr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high-quality rehabilitation nursing through the analysis of academic big data in domestic rehabilitation nurs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 plan for supporting families who perform rehabilitation nursing.

Methods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rehabilitation nursing. We colle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in the educati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database (RISS) defined as the big data, and extracted keywords by the 'rehabilitation', and 'rehabilitation nursing'. The data were analyzed by’R’ Program. Word cloud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field of domestic rehabilitation nursing study, the main keywords were patient, stroke, family, old man, depressi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sentiment analysis with the main keywords in domestic rehabilitation nursing, negative emotional words appeared 6 times higher than positive emotional words.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emotional support plans for patients, family and nurses who are targeted for rehabilitation nursing.


Keywords: Academic big data, Big data analysis, Rehabilitation nursing, Sentiment analysis
키워드: 학술 빅데이터, 빅데이터 분석, 재활 간호, 감성분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재활이란 만성 질환이나 장애, 부상 또는 외상을 포함하여 노화 또는 건강 상태로 인해 일상적인 기능에 제한이 있거나 경험이 있을 때 필요한 일련의 중재로 정의된다(WHO, 2017a). 재활은 건강증진, 예방, 치료 및 완화와 함께 건강의 필수 구성 요소로 만성질환과 인구 노령화의 증가로 전 세계적으로 재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WHO, 2017b). 우리나라 재활간호의 역사는 한국전쟁이후 본격적인 관심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장애인 복지와 재활로, 이제는 저출산 노령화로 인한 노령인구의 재활간호로 이어지고 있다(WHO, 2017a). 장애 예방은 지역 사회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하기에 지역사회 중심 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은 1978년 알마-아타(Alma-Ata) 선언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최초로 시작되었다(Suh, Kang, Lim, Oh, & Kwon, 2000).

재활이 요구되는 환자는 신체적, 인지와 행동 문제의 범위가 넓어 다양하고 복잡한 간호가 요구된다(Pryor, Stewart, & Bonner, 2005; Thorn, 2000). 이에 전문간호 지식을 필요로 하고 간호의 많은 분야와 마찬가지로 재활 간호사 또한 지식 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Sylie, 2000). 평균 수명의 연장, 신체적 손상의 증가로 인해 재활간호에 대한 필요성과 대상이 확대되고 있기에(WHO & Unicef, 1978), 질 높은 재활간호의 범위와 질에 대한 확장적 요구가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재활간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이해하고 재활간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재고를 통해 재활간호 당사자는 물론 제공자의 건강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예방적 재활간호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심층적 담론이 필요하겠다.

‘재활간호(Rehabilitation Nursing)’ 키워드로 검색되어진 와 관련된 국외 논문에는 팀 작업, 의사소통, 평가 기술, 일상생활 활동에서 기능 개선 및 독립을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Burton, 2000; Burton & Gibbon, 2005; Long, Kneafsey, Ryan, & Berry, 2002; Pryor et al., 2005). 최근 국외 논문들은 지역사회 의료 센터의 급성 재활 시설에 대한 파일럿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장애 극복을 위한 예방조치까지를 함께 재활간호 연구 주제로 포함하고 있다. 국내 재활 간호 관련 연구들은 아동재활 및 외상 및 노인재활, 재활간호 직무수행도 재활병동 간호사의 재활간호 직무수행도, 위임, 직무중요도 및 교육요구도(Suh, Yee, & Kim, 2017), 간호사의 재활간호 역량(Choi & Hong, 2015; Kim, Lim, Mun, & Park, 2017) 및 직무분석(So, Kim, Park, & Lim, 2009)을 다루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노화 및 만성질환의 증가로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재활간호의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어(Lee & Ko, 2016; Kadandale, Rajan, & Schmets, 2016).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재활간호에 대한 이해와 확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을 지원할 수 있는 활발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이에 재활간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여 질 높은 재활간호 및 재활간호를 제공하는 가족지원 방안마련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의 공통이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론에 있어 시 · 공간의 제약성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빅데이터와 빅히스토리 이론을 아우르는 빅데이터 연구방법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Bae & Burm, 2019). 연구방법론의 세 측면(자료, 분석, 이론)에서, 빅데이터는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노출과 수집 모두를 포함함은 물론 수치자료와 텍스트자료, 심지어는 사진과 동영상 등 기존의 양적(숫자, 수치 등) 질적(텍스트와 사진, 영상 등의 관찰 자료) 자원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광범위한 다량의 자료를 통칭한다. 자료의 유형적 측면을 넘어 양적 측면에서도 기존의 표집의 의미를 넘어 모집단 전수조사를 지향한다. 물론 지향이 이상적이기에 현실적인 연구실행에 있어 제한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그 제한점들이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발전과 더불어 점진적으로 극복되어지고 있다(Bae & Burm, 2019).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연구방법론은 기존의 양적, 질적연구방법론을 통합할 수 있는 수치와 텍스트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연구방법론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빅데이터 연구는 수치자료와 텍스트자료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있어, 분석 접근에서도 양적연구에서 기본전제로 하는 귀납적 추론과 질적연구에서의 텍스트(네러티브) 분석을 통한 연역적 추론을 함께 활용한다. 기존 존재론과 인식론의 차원에서도 기존 존재론은 근본주의(foundationalism/objectivism)와 반근본주의(anti- foundationalism)로, 인식론은 실증주의(positivism)와 해석주의(interpretivism/constructionism), 그리고 실재론(realism)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빅데이터 분석 및 해석에서는 그 구분을 넘나들 것을 요청한다(Bae & Burm, 2019). 또한 기존의 자료와 연구방법을 확장 통합하는 포괄적 접근으로 관련 개념과 현상 이해를 위해 역사와 심리학, 철학배경의 다양한 이론을 적용하여 방대한 수치와 텍스트를 분석하고 해석한다. 대한민국 재활간호 연구의 빈도양상, 그리고 재활간호 연구의 주제어의 빈도와 관계(network) 양상을 분석하여 전문가들의 재활간호 이해에 대한 수치와 텍스트 자료를 탐구하여, 재활간호의 질 고양을 위한 사회적 담론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에 주제어가 ‘재활간호’인 모든 한국어 연구들을 학술빅데이터로 개념정의 하고 빅데이터 텍스트 분석을 통해 재활간호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변화는 물론 지향성에 대한 담론을 통해 질 높은 재활간호는 물론 환자와 가족, 그리고 간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마련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재활간호 학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질 높은 재활간호의 방안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재활간호 당사자와 가족은 물론 재활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국내 재활간호 학술연구의 현황을 최초 연구부터 연도별 연구의 빈도를 분석한다.
  • • 국내 재활간호 학술연구의 제목과 주제어의 빈도 및 관계 양상을 분석하고 시각화한다.
  • • 국내 재활간호 학술연구의 주제어의 감성어 분석을 실시하고 시각화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후보지와 국내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재활간호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고찰연구이다.

2. 연구자료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재활간호’ 또는 ‘재활 간호’ 주제어로 수집되는 모든 연구를 학술빅데이터로 정의하고, 학술연구 제목과 연구주제어들을 정제(filtering)하여 주요한 단어(주제어, key words)의 빈도 및 중심성을 수치화 및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3. 자료수집

자료수집을 위한 자동화 프로그램은 Python (V_3.7.1)을, 분석에는 R (V_3.6.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재활간호에 대한 학술자료는 1980년 1월 1일에서 2020년 1월 1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고 데이터의 수집은 2020년 1월 10일에서 1월 20일 까지 10일간 진행되었다. 재활간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되는 양적, 질적 자료를 학술빅데이터로 정의하고,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에서 ‘재활간호’, ‘재활 간호’를 주제어로 학술자료를 수집하였다.

재활간호 학술빅데이터는 전체 1,390건으로 학위논문은 586건, 학술논문은 794건이었다. 자료정제는 1차로 제목과 초록에서 ‘재활’이라는 주제어로 1,352건(학위논문 583건, 학술연구 794건)이, 2차는 중복자료 및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자료를 제외한 1,274건(학위논문 494건, 학술연구 780건)이 정제되었다. 3차로 R 프로그램의 SimplePos 함수를 사용하여 연구제목과 연구주제어 단어의 품사를 22가지로 구분하여 보통명사를 중심으로 분석대상 단어(주제어: Keyword)를 추출하였다.

4. 자료분석

학술빅데이터 자료들은 텍스트 수치통계(빈도와 순위, 중심성 수치 등)와 텍스트 시각화분석(워드클라우드 및 네트워크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학술연구 제목 텍스트와 키워드의 빈도양상 및 연관어 관계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워드클라우드(word cloud)와 관계망(Social Network Analysis, SNA)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재활간호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감성어 사전에 기반한 감성분석을 실시하였다.

1) 주제어 빈도 양상 분석

주제어 빈도분석(keyword frequency analysis) 표를 제시하고 키워드 워드클라우드(word cloud)로 주제어들의 빈도양상을 수치화 · 시각화하여 제시 하였다.

2) 주제어 관계양상 분석

주제어들의 관계망 분석(keyword social network analysis)을 위해 주제어들의 중심성(centrality), 밀도(density), 집중성(centralization) 수치를 계산하여 중심성 분석(centrality analysis) 표와 관계망 그래프(그림)로 수치화 및 시각화 하여 제시하였다.

3) 주제어 감성분석

재활간호 연구 주제어에 나타나는 감성 양상 분석을 위해 주제어 감성분석(keyword sentim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군산대학교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인 감성어 사전을 활용하여 감성을 표현하는 부정, 중립, 긍정 주제어들의 빈도와 강도를 통해 재활간호 연구에 드러나는 감성을 수치화 ·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1. 재활간호 연구 현황

재활간호 학술연구 연대별 빈도현황은 Figure 1과 같다. 재활간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세 시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는 990년대 중반 이후 비약적 증가세, 둘째는 1996년을 기점으로의 증가세, 마지막으로는 완만한 증가세로 2000년 이후로 재활간호 연구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 
Distribution of rehabilitation nursing research (1980~2019).

2. 재활간호 연구 주제어 빈도와 관계양상 분석 및 시각화

재활간호 관련 연구 제목과 주제어의 빈도 및 주제어 관계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Table 1, Figure 2(A, B)와 같다. 재활간호 연구에서 주제어 빈도가 높은 단어는 환자, 뇌졸중, 프로그램, 가족, 노인, 우울, 스트레스, 삶의 질, 정신질환 순이었다. 재활간호에서 뇌졸중, 노인, 정진질환 환자 및 가족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빈도가 높은 주제어들 간에 매개중심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매노인, 만성, 부담감, 재가, 만성 주제어의 매개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지랭크에서는 편마비, 폐쇄성, 슬관절, 치환술 등의 수치가 높았다. 매개중심성과 페이지랭크 분석결과, 가족, 환자, 뇌졸중, 치매 등의 주제어가 높은 연결지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페이지랭크 중심성에서 가족(1.3), 환자(1.3), 부담감(1.29)은 거의 유사한 수치로 나타나 결국 재활간호의 주체가 환자는 물론 가족임을, 그리고 재활간호 가정의 어려움이 수치로 드러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igure 3 (A, B)에서와 같이 재활간호 환자와 병인, 질환이 모두 가족과 연결되어 ‘부담감’이라는 주제어로 귀결되고 있다. 재활간호의 당사자가 의료진을 넘어 이제는 가정과 가족으로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또 비의료인으로서의 가족 구성원들은 재활간호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재활간호 연구는 자조적 생활이 어려운 환자들에 대한 재활간호를 의료인과 가족들이 함께 책임지고 있으며, 가정 재활간호에 대한 지원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관심과 연구들이 증가되고 있는 양상으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

Table 1. 
Frequency Analysis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Major Words among the Words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Nursing Research
Rank keyword frequency keyword net_bet† keyword net_pr
1 환자 123 뇌졸중 24 환자 0.13
2 뇌졸중 117 환자 20 가족 0.13
3 프로그램 67 가족 18 부담감 0.129
4 가족 43 치매노인 11 뇌졸중 0.0811
5 노인 39 만성 5 편마비 0.0684
6 중심 37 부담감 4 치매노인 0.0637
7 우울 36 우울 3 폐쇄성 0.0538
8 스트레스 35 재가 2 만성 0.0484
9 삶의 질 31 만성 1 슬관절 0.0357
10 정신질환 29 스트레스 1 치환술 0.0357
net_bet: net between, 연결 중심성; net_pr: page rank, 연결어의 종착지.


Figure 2. 
Key words visualization of rehabilitation nursing research.


Figure 3. 
Visualized based on the network analysis that examines the rehabilitation nursing research.

3. 감성분석

재활간호 관련 연구 제목과 주제어에서 나타난 감성어 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Figure 4와 같다. 긍정적 정서를 보이는 단어 지수는 8개인데 비해 부정적 정서를 나타내는 단어 지수가 49개로 약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간호에 대한 간호사와 가족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들이 높은 부정적 감성어의 빈도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igure 4. 
Sentiment analysis of rehabilitation nursing research.


논 의

본 연구는 질 높은 재활간호 제공을 통해 환자는 물론 가족, 의료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재활간호 연구 빅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국내 재활간호 학술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초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간호 연대별 학술연구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1990년대 중반을 넘어서며 비약적으로 증가하는데, ‘아동’ 또는 ‘소아’와 ‘재활’이라는 주제어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이는 간호 분야에서 재활간호에 대한 높아진 관심도의 수치이기도 하지만, 국제 및 국내 학술대회, 기타 사회 이슈들로 재활간호 특히 아동재활간호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2000년 이후 재활간호의 중요성 및 필요성의 대두에 비해 전문가들의 관심과 연구 빈도는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대적으로 ‘노인’을 주제어로 하는 재활간호 연구들은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었다. 이는 Suh 등(2000)WHO와 Unicef (1978)의 연구와 같은 맥락으로 재활간호의 대상이 최초 전쟁이나 사고에 의한 손상에 대한 재활에서 장애인 재활(만성질환 포함), 현재는 노인재활로 연속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재활간호 연구의 연대별 주제어별 빈도 양상 이해는 재활간호의 연구성과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후속연구 문헌분석의 기초자료로 재활간호 연구의 방향성 탐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재활간호 연구 주제어 빈도양상을 살펴보면, 환자, 뇌졸중, 가족, 노인, 우울, 스트레스, 삶의 질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Lee (2007)의 연구와 같은 맥락으로 최근 고령화와 더불어 질병양상의 만성화, 그리고 성인병 환자 및 노령질환 환자, 정신질환 환자 증가로 재활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에서, 노인재활에 대한 요구와 수요와 더불어 재가 재활간호의 요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외적 손상 또는 장애, 신체능력 및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간호 및 가족 재활간호 지원에 대한 정책적 사회적 지원 방안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재활간호의 주제어들의 관계 양상 분석결과, 뇌졸중 및 치매 관련된 주로 노환에 의한 재활간호에 대한 의료인 및 가족에 대한 역동성에 대한 언급이 많았다. Choi와 Hong (2015)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재활간호의 대상이 되는 환자와 노인은 물론 가족의 우울과 스트레스 수준을 높여 인간 삶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재활간호 당사자는 물론 의료인을 포함한 가족, 주변인의 재활간호는 물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행정, 정책수립 등의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넷째, 재활간호의 주제어에 대한 감성분석 결과 부정적 감성지수가 긍정적 감성지수 보다 약 8배 높게 나타났다. 재활간호에 대한 감성어 양상에서 우울, 부담감, 어려움 등의 부정어빈도가 월등히 높다는 것은 재활간호 연구가 대부분 재활간호 환자와 의료인, 구성원들의 어려움과 고충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 것(Rose, Neil, Castles, Pokorny, Watkins, & Hand, 2017).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재활간호에 대한 보람과 의미 등의 긍정적 관점의 연구를 통해 재활간호에 대한 다양한 연구 확장으로, 재활간호 관련 당사자들의 쾌유와 삶의 질 향상에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재활 및 재활간호의 개념(이해)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을 아우르는 사회적 공통이해가 필요하겠다. 재활은 만성 및 장애, 외상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 극복을 중재하는 것으로(WHO, 2017a), 초기 대한민국 재활간호는 이와 같은 협의적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재활간호는 재활의학의 관점을 흡수하여 일상생활에서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능력과 잠재능력을 발달시켜 만족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간호 및 지원하는 개념으로 보다 넓은 의미로 이해되었다(WHO, 2017b). 향후 재개념화 될 재활간호의 사회적 공통이해는 초기 신체적 재활에서, 만성질환과 정신질환은 물론 노화를 아우르는 보다 포괄적 확장으로 연속되어, 전인간호의 중요한 접근방안의 일환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틀이 만들어져야 하겠다.


결론 및 제언

대한민국은 인구 통계학적으로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만성질환 및 장애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인간 존엄을 위한 재활간호에 대한 요구는 갈수록 높아질 것이다. 재활간호의 어려움은 그 긴 시간과 드라마틱하게 변화될 것 같지 않은 예후 때문일 것이다. 이는 전문병원이 전담할 수도, 가정에서 전담할 수도 없는 어려움을 이미 담지하고 있는 딜레마이다. 따라서 재활간호를 통한 섣부른 희망보다는, 지속되는 시 · 공간에서의 재활간호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행정적 · 재정적, 그리고 의료적 지원과 더불어 환자와 간호 당사자들에 대한 정서적 지원 시스템 구축과 실행이 필요하겠다. 이와 같은 이유로 체계적이며 필수적인(법적, 행정적) 지원의 한 영역으로 재활간호가 대한민국 복지적 전인간호에 착상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빅데이터 연구방법에서 텍스트, 즉 주제어(topic) 빈도(수치)와 관계(network) 양상을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고 있다. ‘재활간호’ 라는 주제어로 검색되어진 한국어 학술연구들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분석결과가 한정적이다. 차후 연구에서는 해외학술연구는 물론 재활의학 및 요양 등 확장 심화된 개념으로의 재활간호 학술빅데이터 연구를 제안한다.


References
1. Bae, J., & Burm, E. (2019). Big data analysis: Medical accident. Medico-Legal Update, 19(1), 646-652. http://ijop.net/index.php/mlu/article/view/993
2. Bae, J., & Burm, E. (2020). Big data analysis for child well-being on academic research. Medico Legal Update, 20(1), 2058-2062. http://ijop.net/index.php/mlu/article/view/683
3. Burton, C. R. (2000). A description of the nursing role in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2(1), 174-181.
4. Burton, C., & Gibbon, B. (2005). Expanding the role of the stroke nurse: A pragmatic clinical tri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6), 640-650.
5. Choi, Y. H., & Hong, S. Y. (2015). Developing a community capacity builded exercise maintenance program for frail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8(2), 153-164.
6. Kadandale, S., Rajan, D., & Schmets, G. (2016). Strategizing national health in the 21st century: A handbook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7. Kim, C. H., Lim, E. S., Mun, K. H., & Park, M. J. (2017). Rehabilitation nursing competencies of Korean nurses by type of health institut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2), 89-99.
8. Lee, E. H., & Ko, E. (2016). Comparison wi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rehabilitation nursing need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admitted to a rehabilitation hospital and nurse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9(1), 30-42.
9. Lee, S. H. (2007). Study on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nursing and care and health character of aged people living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ung-in University, Youngin. http://www.riss.kr/link?id=T11264360
10. Long, A. F., Kneafsey, R., Ryan, J., & Berry, J. (2002). The role of the nurse within the multi-professional rehabilitation tea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7(1), 70-78.
11. Pryor, J., Stewart, G., & Bonner, A. (2005). Seeking evidence of rehabilitation in nephrology nursing. Collegian, 12(3), 20-26.
12. Rose, M. A., Neil, J. A., Castles, R., Pokorny, M., Watkins, F., & Hand, M. (2017). Research in the rehabilitation unit presents challenges to nurse researchers. Rehabilitation Nursing Journal, 42(2), 104-108.
13. So, H. Y., Kim, J. W., Park, J., & Lim, N. Y. (2009).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rehabilitation nurse based on DACUM.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2(1), 16-29.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230336
14. Suh, M, J., Kang, H. S., Lim, N. Y., Oh, S. Y., & Kwon, H. J. (2000). Theory and practice of rehabili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5. Suh, Y. O., Yee, O. H., & Kim, I. J. (2017). Performance, delegation,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for tasks of rehabilitation nurse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2), 79-88.
16. Sylie, T. (2000). Neurological rehabilitation nursing: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5), 1029-1038.
17. Thorn, S. (2000). Neurological rehabilitation nursing: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5), 1029-1038.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 Unicef. (197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imary health care: alma ata.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Institute for Learning Technologies Web site: https://www.who.int/publications/almaata_declaration_en.pdf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a). Rehabilitation in health system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Institute for Learning Technologies Web site: https://www.who.int/rehabilitation/rehabilitation_health_systems/en/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b). Rehabilitation 2030: A call for ac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Institute for Learning Technologies Web site: https://www.who.int/rehabilitation/rehab-2030-call-for-action/en/